수질·해양 환경·폐기물(일반,PCBs) 측정분석
수질·해양환경
- 국내 분석전문기관 최다(Best top) 인증 운영
- 최고의 분야별 전문 기술인력 확보 (분야별 10년 이상 경력책임자 구성)
측정분야 : 분야별 기술사 측정책임자 운영, 분석분야 : 분야별 석·박사 분석책임자 운영(분야별 환경측정분석사 보유)
- 환경 관련 최다 인증업체로 전분야 일원화 서비스(Full Package Service)
수질
최첨단 장비와 전문기술인력을 통한 수질 분야 전항목 분석 서비스
수질오염물질 배출허용기준 적합유무 판별과 권역별 수질오염총량제 시행 등에 따라 정기적인 수질분석 및 안정적인 수질관리를 위한 방류수외 사업공정별 측정분석 및 모니터링 관리
관련법규
- 「물환경보전법」 제4조의 7(오염총량 초과 부과금),
제32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34조[별표13] (산업폐수 배출허용기준)
분석서비스 항목
- 배출허용기준 항목 57종 및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 전항목
주요실적
- 전자, 반도체, 디스플레이, 케미갈, 공공 및 민간사업장 처리수 등 다수
생태독성
물벼룩을 이용한 급성독성시험평가 서비스
산업폐수, 생활하수 등에 대해 물벼룩을 이용한 생태독성을 측정하고 미지의 유해물질 영향관리
관련법규
- 「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」 환경부령 제380호
- 「하수도법 시행규칙」 환경부령 제374호
분석서비스 항목
- 생태독성(TU: Toxic Unit) 및 원인물질 컨설팅
주요실적
- 공공하수종말처리장, 전자, 반도체, 디스플레이, 폐수종말처리장 등 다수
폐기물
- 폐기물 분석 전문 기관 인정 (국립환경과학원/제10호/2005/일반,유기용제)
폐기물 분석 공식 인정업체로 검증된 장비와 기술인력에 의한 분석 서비스
사업장 페기물 내 오염물질 함유량 분석을 통한 일반폐기물과 지정폐기물 구분
관련법규
- 「폐기물관리법」 제18조(사업장폐기물처리) 및 제24조2(폐기물 수출입 신고 등)에 의거 폐기물 수출입 동법 시행규칙 제2조(지정폐기물의 유해물질 함유기준)
분석서비스 항목
- 사업장폐기물(폐산, 폐알카리, 폐유, 폐유기용제, 폐수처리오니, 폐흡착제, 분진, 소각재, 도자기조각, 고형화처리물외) 수출입신고 폐기물(함량분석)
주요실적
- 공공하수종말처리장, 전자, 반도체, 디스플레이, 폐수종말처리장 등 다수
PCBs
절연유 및 폐기물중 잔류성오염물질인 PCBs 함유량 확인 분석 서비스
잔류성오염물질 관리법 시행에 따라 PCBs 함유 기기(유입식 변압기)의 농도를 분석하여 적정처리 및 신고관리
관련법규
- 「잔류성오염물질관리법」 제19조(재활용의 종류 및 용도) 및 동법 시행규칙 제21조(관리대상 기기등에 관한 신고)
분석서비스 항목
주요실적
- 공공하수종말처리장, 전자, 반도체, 디스플레이, 금속제련, 폐수종말처리장 등 다수
PCBs 함유량 분석대상 및 시기
구분 |
대상 |
시기 |
신규 |
신규로 설치되는 관리대상기기 |
설치한 날로부터 30일 이내 |
변경 |
PCBs를 2mg/L 이상 함유한 절연유 교체 관리대상기기를 폐기할 경우 |
대상기기의 변경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30일 이내 |
해양환경
해수 및 해양 미량 퇴적물의 미량분석 검증기관 운영
해양환경관리법에 의해 해양오염에 대한 영향조사 실시 의무화로 해양수 및 해저퇴적물 분석을 통한 해양환경 평가 관리
관련법규
- 「해양환경관리법」 제95조(해양환경 영향조사 등)
분석서비스 항목
- 해양수(표층, 심층), 해저퇴적물, 해양폐기물 등
주요실적
- 항만준설공사, 해역조사 외 해양 관련 사업 다수 수행
극미량 분석
업계 최초 극미량 분석 시스템 구축(ppt Label: parts per trillion 10-¹²) 세척에서 분석까지 일원화 서비스로 교차오염의 방지 및 극미량 분석 환경 유지 관리 시스템
-
교차오염방지Exclusion of cross-contamination
- 샘플링 장비의 오염원 제거
- 세척과정 간소화(오염원 재부착 방지)
- 초자 건조후 보관시간 최소화 (사용시마다 건조)
-
극미량 분석환경 유지Maintaining trace analysis
- 항온항습 유지 (최상의 분석조건으로 관리)
- 초순수 및 크린룸 시설 등 정기관리 (연간 유지보수 관리)
-
극미량 분석 관리Trace target testing
- QA/QC 진행 (정기적으로 분석시스템 검증)
- 내·외부 QC관리
내부: 시험자간 비교관리
외부: 국제순련도 실시
분석서비스 항목
주요실적
업계 최초 극미량 분석 시스템 구축
구분 |
대상 |
분석농도 |
1 |
수질 중 초순수, 공업용수, 지하수외 |
ppb, ppt 분석 |
2 |
대기중 극미량 이온 |
ng, pg 분석 |